티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수익 이거 모르면 절대 못 냅니다.

티스토리와 네이버 블로그, 워드프레스까지 블로그 플랫폼 고를 때 고민되신다면 당연히 수익 때문에 고민하시는 거겠죠? 블로그 수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검색 플랫폼 점유율, 블로그 수익이 어떻게 나는 건지부터 아셔야 합니다. 절대 키워드며 카테고리도 다른 콘텐츠로 비교글 올려놓고 금액 찍은 스샷 보고 선택하지 않기를 바라며 이 글을 씁니다. 블로그를 시작하기 전인 초보분들과 블로그를 운영 중이지만 내가 이 플랫폼을 선택한 게 잘한 건지 불안한 분들은 꼭 읽어보시기를 바랍니다.

목차

1. 블로그 수익의 요소

2. 검색 사이트 점유율

3. 티스토리VS네이버 CPC 비교

4. 수익 비교와 관련된 Q&A

5. 요약


1. 블로그 수익의 요소

블로그 수익은 여러 가지 복합적인 결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체험단을 해서 제공받은 것들을 포함시키기도 하는데 저는 체험단 하는 시간과 포스팅하는 시간까지 들였을 때 이걸 블로그 수익에 왜 포함하는지 이해가 안 갑니다. 왔다 갔다 가까운데라고 해도 1시간, 체험하는데 1시간, 사진 고르고 포스팅하는데 1시간이라고만 해도 벌써 3시간이죠? 이것도 최소로 잡은 시간인데 시간 들인 건 빼고 체험단 서비스 금액만 냅다 포함시킨 글은 거르세요.

 

저는 단순히 어떤 주제로 글을 적어 포스팅 했을 때 블로그 수익이 나는 공식을 식으로 나타내 보겠습니다.

수익 = 트래픽 x 광고 노출률 x 클릭률 (CTR) x 클릭당 비용 (CPC)

 

  • 트래픽은 블로그 방문자 수입니다. 어떤 플랫폼이든 블로그 관리에서 조회수를 보면 되겠죠.
  • 광고 노출률은 한 화면에서 광고가 몇 개나 보이느냐 입니다. 네이버 같은 경우에는 블로거 마음대로 광고수를 조절할 수 없고, 티스토리와 워드프레스는 광고 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클릭률은(CTR) 광고를 클릭하는 비율입니다. 콘텐츠와 관련된 광고가 적절하게 뜨고 배치도 거슬리지 않게 잘하는 등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의 경우 애널리틱스로 정보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 클릭당 비용은(CPC) 광고를 클릭했을 때 광고주가 지급하는 금액입니다. 일반적으로 국내보다 국외 광고주들의 cpc가 높습니다. 시장이 더 크니 광고주들끼리의 경쟁이 치열해서 단가가 높아질 수밖에 없죠. 키워드에 따른 단가 차이도 큽니다. 자동차, 경제, 건강 같은 키워드의 단가가 높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내용입니다.

그렇다면 이 요소들이 블로그 플랫폼마다 어떻게 다를지를 보면 이상한 비교글, 실험글 보지 않아도 답이 나옵니다.

먼저 트래픽은 국내 사람들을 타겟으로 했을 때 검색 사이트 점유율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 같은 키워드로 글을 쓴다면 티스토리와 네이버 어디서 트래픽이 높을까요?

2. 검색 사이트 점유율

검색 사이트 점유율
[자료 출처] 인터넷 트랜드

2024년 3월~2025년 3월까지의 검색 사이트 점유율입니다. 짧은 한 달 사이 변동이 크더라도 크게 보면 네이버 60%, 구글 30% 정도입니다. 나머지 10%는 다음, 빙, 줌 등으로 트래픽에 큰 영향이 없습니다. 

3. 티스토리VS네이버 CPC 비교

국내보다 국제적으로 경쟁하는 국외 광고의 CPC가 더 높습니다. 키워드마다 차이가 크지만 네이버 애드포스트의 CPC는 대략 70원, 구글 애드센스는 300원 정도입니다. 더 높은 단가의 키워드라면 단가가 올라갈 수 있는데 둘 다 오를 테니 구글 애드센스의 CPC가 1.5배~3배 정도 더 높다는 건 변하지 않습니다.

같은 키워드로 콘텐츠의 질이 비슷한 포스팅을 했을 때 검색 사이트 점유율과 CPC 데이터로 블로그 수익을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 네이버 애드포스트: 60% X 70 X 광고 노출률 X 클릭률 = 42
  • 구글 애드센스: 90% X 150~300 X 광고 노출률 X 클릭률 = 90

위 계산 결과를 보면 네이버가 검색 점유율은 높지만 구글에서 상위 노출될 경우 티스토리 블로그 수익이 약 2.14배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수익 비교와 관련된 Q&A

Q) 검색 사이트 점유율과 블로그 플랫폼과의 관계

이런 궁금증이 들 수 있습니다. 네이버나 구글의 점유율과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가 무슨 상관이야? 게다가 티스토리는 다음/카카오 블로그잖아? 

네, 매서우신 분이군요. 맞습니다. 티스토리VS네이버 블로그 수익 공식과 계산이 저렇게 나온 이유를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네이버는 상위노출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인 DIA 로직과 C-Rank, 자사 서비스와의 연계, 이웃과의 소통 같은 복합적인 요소에 의해 같은 키워드, 같은 품질의 글이라면 네이버 블로그의 글이 네이버에서 상위 노출됩니다.

 

구글의 경우 네이버 블로그보다 티스토리 블로그가 유리한 이유는 티스토리가 네이버 블로그보다 표준 HTML 구조를 가졌기 때문에 구글 크롤러가 콘텐츠를 쉽게 색인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구글의 검색 알고리즘에는 네이버 블로그보다 티스토리가 더 적합합니다. 거기에 html을 사용자가 커스터마이징까지 가능하니 같은 콘텐츠, 같은 품질의 포스팅이라면 티스토리 블로그가 구글에서 상위 노출됩니다.

 

Q) 네이버에도 티스토리 블로그가 상위노출 될 수 있나요?

네이버 블로그가 유리하다고 해도 포스팅 질적으로, SEO측면으로 티스토리 블로그의 글이 우수하다면 당연히 티스토리 블로그의 글이 상위노출 됩니다. 반대로 구글에서 네이버 블로그 글이 상위 노출 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콘텐츠의 질입니다. 그런 측면에서 보더라도 단가가 높은 구글애드센스를 사용할 수 있는 티스토리를 추천합니다.

 

Q) 워드프레스나 구글 블로그는 왜 비교하지 않았나요?

비교에서 워드프레스는 운영비가 들어가니 제외했는데 들어가는 비용 제외하면 티스토리와 비슷한데 SEO최적화에 좀 더 유리하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로딩속도 조절, 메타 디스크립션 설정, 메타 태그 등의 SEO에 유리한 요소들을 사용자가 커스터마이징 하는 부분에서요. 구글 블로그는 무료지만 비슷합니다. 초보가 하기에는 어려울 수 있으니 시작은 티스토리로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5. 요약

네이버 블로그를 하든, 티스토리를 하든 레드오션, 블루오션 이런 건 의미 없습니다. 잘 하는 사람들은 레드오션에서도 잘하고 경쟁률이 높은 키워드에도 상위 노출되는 블로그는 분명히 있으니까요.

 

하지만 같은 시간, 같은 노력을 들였을 때 공식적으로 티스토리 블로그의 수익이 더 높습니다.

특히나 이제 블로그를 시작하는 초보분들은 티스토리로 시작해서 어떤 키워드가 수익이 잘 나는지, 어떻게 써야 체류시간이 느는지 글 쓰는 방법부터 익숙해져야 합니다. 저도 글쓰기에는 나름 자신이 있었는데요, 중요한 것은 '검색이 잘 되는 제목', 'SEO에 적합한 글쓰기'라 다른 분야더군요. 포스팅은 일반적인 필력과는 다른 포인트가 있으니 포스팅을 잘 쓰는 법을 먼저 익히셔야 합니다. 


제 목표는 금전적으로 자유로운 디지털 노마드인데요, 그러다 보니 '시간'이라는 요소를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어떻게 하면 가만히 있어도 돈을 벌 수 있을까를 늘 고민하죠. 그런 부분에서도 네이버는 최신 포스팅에 점수를 높게 주는 경향이 있으니 계속해서 최신글을 써야하는 네이버보다 티스토리가 더 적합했습니다. (티스토리는 글 올려놓고 쉬어도 된다는 말은 아닙니다. 다만 네이버가 최신글 영향이 크다는 말입니다.)

 

공식으로 쓰기에는 애매하지만 본인의 경향에 따른 블로그 플랫폼 선택 가이드를 드릴 수는 있습니다. 부지런하고 계속해서 콘텐츠를 생성하는 게 즐겁고 취미이신 분들, 체험단/어필리에이트를 열심히 하시는 분들은 네이버 블로그도 수익이 좋습니다. 꾸준히 네이버가 검색사이트 점유율 6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니 트래픽이 잘 나오기 때문이죠. 본인의 경향이 어느 쪽인지를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가만히 앉아서 정보성 글 위주로 올린다면 티스토리 블로그, 체험/어필리에이트/SNS활동/마케팅 부분을 활발하게 하실 수 있다면 네이버 블로그로 시작하세요.

 

다른 의견도 언제나 환영이니 댓글 주세요. :)

 

[티스토리 블로그 운영 팁]을 꾸준히 올리려고 합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도 읽어보시면 좋습니다.

▶블로그 글자수와 SEO의 관계, 글자수 세는 방법